정보처리기사

[19일차] 운영체제 –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구조, 접근 제어 방식 완전 정리

news800905 2025. 5. 18. 11:07
728x90

📘 1. 파일 시스템 (File System)

  • 파일을 저장하고 접근하는 방식과 규칙의 체계
  • 운영체제는 각 파일의 이름, 위치, 크기, 속성 등을 관리
  • 파일의 구성 요소: 이름, 위치, 크기, 생성/수정일, 접근 권한 등

📘 2. 디렉터리 구조의 종류

구조설명
단일 디렉터리 모든 파일이 하나의 폴더에 있음 (파일 충돌 발생 가능)
2단계 디렉터리 사용자별로 개별 디렉터리 할당
트리 디렉터리 계층적 구조로 폴더 안에 폴더 생성 가능 (대부분 OS 사용)
DAG 구조 파일 공유 가능 (지향 그래프 기반, 링크 구조 포함)
 
  • 기출 포인트: 트리 구조 = 경로 구분 가능 + 이름 중복 허용(다른 경로)

📘 3. 접근 제어 방식 (Access Control)

방식설명
DAC (Discretionary) 자원 소유자가 접근 권한을 제어
MAC (Mandatory) 시스템이 보안 등급에 따라 강제 제어
RBAC (Role-Based) 사용자 역할에 따라 권한 부여
 
  • DAC: 일반 OS(Windows 등), 유연하지만 취약할 수 있음
  • MAC: 군사, 공공기관 시스템에서 사용
  • RBAC: 기업 환경에서 가장 일반적인 방식

📘 4. 기출 포인트 요약

  • 파일 시스템 = 파일 저장, 관리 구조 전반
  • 디렉터리 구조 중 트리형은 실생활 OS에서 가장 많이 사용
  • 접근 제어 방식의 구분은 용도와 주체 중심으로 구별

📝 기출 예시 문제

다음 중 운영체제에서 디렉터리 구조의 일종으로, 동일한 파일을 여러 위치에서 참조할 수 있는 구조는?

① 단일 디렉터리
② 트리 디렉터리
③ DAG 디렉터리
④ 순환 디렉터리

✅ 정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