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차] 전자계산기 구조 – 명령어 형식과 주소지정 방식 이론 총정리
2025. 5. 23. 08:26ㆍ정보처리기사
728x90
SMALL
📘 1. 명령어 형식(Instruction Format)
구성 요소설명
OP Code | 명령의 종류(연산 내용) |
주소부 | 데이터가 있는 위치 지정 |
레지스터부 | 연산에 사용될 레지스터 지정 |
모드 비트 | 주소 해석 방식 결정 (간접 여부 등) |
- 단일 주소 형식: 주소 1개 포함
- 2주소, 3주소 형식: 연산 대상과 결과 저장 위치 구분
📘 2. 명령어 사이클 복습
단계설명
Fetch | 명령어 인출 |
Decode | 명령어 해독 |
Execute | 명령어 실행 |
(Optional) Store | 결과 저장 (필요 시) |
- CPU 내부에서 명령어 레지스터(IR), 프로그램 카운터(PC) 등 사용됨
📘 3. 주소지정 방식 (Addressing Mode)
방식설명장점
직접 | 명령어가 실제 데이터의 주소를 포함 | 이해 쉬움 |
간접 | 주소가 가리키는 주소에 데이터 있음 | 메모리 공간 절약 |
즉시 | 데이터 자체가 명령어에 포함 | 빠름 |
레지스터 | 레지스터 안에 데이터 있음 | 연산 속도 빠름 |
인덱스 | 기본 주소 + 변위값 | 배열에 적합 |
📌 주요 기출 유형:
- 주소지정 방식 구분
- 간접/즉시 비교
- 명령어 길이 및 처리 순서
📘 4. 기출 포인트 요약
- 즉시 주소 지정 = 상수 직접 명령어에 포함
- 간접 = 한 번 더 찾아감
- 명령어 사이클 순서: Fetch → Decode → Execute
- 연산코드와 주소부 구성 파악
📝 기출 예시 문제
명령어에 포함된 주소가 실제 데이터가 아닌, 다른 주소를 가리키는 방식은?
① 직접
② 간접
③ 즉시
④ 레지스터✅ 정답: ②
728x90
LIST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5일차] 전자계산기 구조 – 명령어 파이프라인 & 인터럽트 완전 정리 (0) | 2025.05.25 |
---|---|
✅ [24일차] 전자계산기 구조 – ALU, 제어장치, 레지스터 완전 정리 (0) | 2025.05.25 |
[22일차] 전자계산기 구조 – 가산기, 플립플롭, 카운터 이론 완전 정리 (0) | 2025.05.22 |
[21일차] 전자계산기 구조 – 논리 게이트, 조합회로와 순서회로 구분 정리 (0) | 2025.05.21 |
[19일차] 운영체제 –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구조, 접근 제어 방식 완전 정리 (0) | 2025.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