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차] 관제 시스템 구성 이해 – CCTV·드론 장비 종류 & 시스템 흐름도 정리
2025. 5. 31. 09:30ㆍ영상정보관리사
728x90
SMALL
📘 1. 관제 시스템 구성 개요
- 목적: 실시간으로 영상정보를 수집·전송·분석·저장하여 이상 상황(침입·교통사고·화재 등)을 즉시 감지하고 대응하기 위한 통합 플랫폼 구성
- 주요 기능:
- 영상 수집: CCTV 또는 드론 카메라로 현장 영상 촬영
- 영상 전송: 네트워크(유선 LAN, 무선 통신, LTE/5G 등)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달
- 영상 분석: 관제 소프트웨어(지능형 분석 엔진)로 이상 징후(이동 물체, 유실물, 침입)를 탐지
- 저장 및 재생: NAS/서버에 영상 저장 후 필요 시 재생 및 증거 자료 활용
- 알림·통보: 실시간 알람을 모바일 앱·문자·이메일 등으로 전송
📘 2. CCTV 장비 종류 및 특징
유형특징
고정형 카메라 | - 한 지점을 지속 모니터링 - 설치 비용 저렴, 유지보수 용이 |
팬·틸트·줌(PTZ) 카메라 | - 원격 제어로 수평·수직 회전 및 확대·축소 가능 - 넓은 구역 커버 기능 |
돔 카메라 | - 실내·실외 모두 사용 가능 - 외관 상 카메라 방향 파악 어렵게 설계 |
열화상 카메라 | - 어두운 환경에서도 온도 기반 탐지 가능 - 화재 초기 감지에 유리 |
네트워크(IP) 카메라 | - 이더넷 케이블 또는 PoE(Power over Ethernet)로 전원·데이터 동시 전송 - 고해상도·원격 관리 기능 |
📌 기출 포인트
- PTZ는 넓은 구역 커버, 원격 제어 기능이 핵심
- 열화상 카메라는 야간·악천후 환경에서 온도 차 기반 탐지 가능
- IP 카메라는 PoE로 편리하게 설치 가능, 유지보수 비용 절감
📘 3. 드론 장비 종류 및 특징
유형특징
로터형 드론 | - 4~8개의 회전익(프로펠러) 사용 - 정지 비행(호버링), 좁은 공간 접근 용이 |
고정익 드론 | - 비행시간·비행 거리 길지만 호버링 불가 - 넓은 지역 순찰 및 매핑에 유리 |
하이브리드 타입 | - 로터형·고정익 융합 - 수직 이착륙(VTOL)과 순항 비행 모두 가능 |
열화상 탑재 드론 | - 산불·야간 수색 등 특수 임무에 사용 - 열화상 카메라 탑재로 온도 감지 가능 |
📌 기출 포인트
- 로터형 드론은 정밀 관제가 필요할 때, 고정익 드론은 넓은 지역 순찰 시 사용
- 하이브리드 드론은 시범사업 및 복합 임무에서 점차 활용 확대
- 열화상 탑재 시 실종자 수색·산불 조기 감지 등의 특수 상황 대응 가능
📘 4. 시스템 구성 요소 & 흐름도
- 카메라(말단 장치)
- CCTV · 드론 카메라가 실시간 영상 캡처
- 해상도(1080p, 4K 등), 프레임 속도(30fps 이상) 확인
- 네트워크 전송망
- 유선 LAN(광케이블, CAT6 이상) 또는 무선 LTE/5G, Wi-Fi로 영상 데이터 전송
- 네트워크 대역폭 설계: 4K 영상 전송 시 최소 8~10Mbps 필요
- 관제 서버(서버·스토리지)
- 인코더/디코더(Encoder/Decoder): 영상 압축(H.264/H.265 코덱) 후 저장
- 저장소(NAS/DAS/SAN): RAID 구성 등 이중화로 데이터 안정성 확보
- 영상 관리 시스템(VMS): 실시간 모니터링, 재생, 알람, 이벤트 로그 관리
- 분석 엔진(지능형 관제 소프트웨어)
- 행동 분석(Behavior Analytics): 사람·차량 인식, 침입/이탈 감지
- 객체 추적(Object Tracking): 관심 객체 자동 트래킹 및 경로 분석
- 이상 감지(Anomaly Detection): 화재 연기, 이상 소리 탐지 등 AI 기반 탐지
- 통합 콘솔(UI/UX 화면)
- 관제실 모니터 또는 모바일 앱으로 다중 채널 영상 동시 재생
- 이벤트 발생 시 팝업 알림, 경고음, SMS/이메일 전송
- 관리자 & 운영자
- 관리자: 시스템 권한 설정, 유지보수, 계정 관리
- 운영자: 실시간 모니터링, 이벤트 대응, 보고서 작성
plaintext
복사편집
[ 시스템 흐름도 예시 ] CCTV/드론 → 네트워크 전송 → 인코더 → 관제 서버(저장) → └→ 분석 엔진 → 이벤트 탐지 → 알림 전송 → 운영자/관리자 대응
📌 기출 포인트
- 네트워크 대역폭 계산 방법: (해상도×프레임 속도×색상비트) ÷ 압축율
- 코덱 구분: H.264 vs H.265 – 저장 용량 절감 차이 이해
- 분석 엔진 주요 기능: 객체 인식·추적, 행동 분석, 화재 감지 알고리즘
📘 5. Day 6 시험 대비 팁
- 장비 구분 암기: CCTV·드론 유형별 특징을 표로 정리 후 암기
- 흐름도 그리기 연습: 실제 관제 시스템 설치 사례 기반으로 직접 다이어그램 그려보기
- 대역폭 계산 문제 풀어보기: 예시로 1080p(1920×1080)·30fps 영상의 대역폭 계산
- 코덱 비교 암기: H.264, H.265 장단점 나열 및 비교
📝 기출 예시 문제
다음 중 “관제 시스템 흐름도” 상에서 인코더(Encoder)의 역할로 옳은 것은?
- 실시간 이벤트 발생 알림 전송<br>
- 원본 영상을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저장용 포맷으로 변환<br>
- 저장된 영상을 AI 분석 엔진으로 전달하여 객체 인식 수행<br>
- 관제 서버에 접속한 운영자의 권한을 제어
✅ 정답: 2) 원본 영상을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저장용 포맷으로 변환
728x90
LIST
'영상정보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8일차] 관제 플랫폼 실습② – 드론 영상 연동 & 모니터링, 알림 설정 및 경보 관리 (0) | 2025.06.02 |
---|---|
✅ [7일차] 관제 플랫폼 실습① – 데모 계정 접속 & CCTV 영상 재생·이상 이벤트 탐지 정리 (0) | 2025.06.01 |
✅ [5일차] 영상정보 전 과정 관리 – 수집·저장·삭제 절차 & 보안·접근 통제 정리 (0) | 2025.05.30 |
✅ [4일차] 도로교통법 핵심 조문 – 교통 관제 영상 활용 규정 정리 (0) | 2025.05.29 |
✅ [3일차] 통신비밀보호법·정보통신망법 기초 – 비밀 보장 & 네트워크 보안 요건 정리 (0) | 202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