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차] 전자계산기 구조 – 정보 표현 방식(문자, 음성, 영상)

2025. 5. 25. 10:26정보처리기사

728x90
SMALL

📘 1. 정보 표현의 기본 개념

  •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0과 1로 구성된 2진수 형태로 처리
  • 문자, 음성, 이미지, 영상 등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처리함

📘 2. 문자 데이터의 표현

표준 코드설명
ASCII 미국 표준 코드 (영문 + 숫자 + 특수기호, 7비트)
EBCDIC IBM 메인프레임용 (8비트)
Unicode 전 세계 문자 지원 (UTF-8, UTF-16 등)
 

📌 기출 포인트:

  • ASCII는 7비트 = 128가지 문자
  • Unicode는 다국어 표현에 필수

📘 3. 음성 데이터의 디지털 표현

  • 음성은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 → 디지털화 필요

변환 과정

  1. 표본화(Sampling) – 주기적으로 소리 추출
  2. 양자화(Quantization) – 수치로 근사화
  3. 부호화(Encoding) – 2진수 코드로 변환
용어설명
샘플링 주기 1초당 측정 횟수 (예: 44.1kHz)
양자화 비트 수 한 샘플을 몇 비트로 표현할지 (예: 16bit)
 

💡 표본화 주기와 비트 수가 높을수록 품질 ↑, 용량 ↑


📘 4. 영상(이미지/비디오)의 디지털 표현

정지 영상 (이미지)

  • 비트맵 방식: 각 픽셀마다 색상 정보 저장 (예: BMP, PNG)
  • 벡터 방식: 수학적 도형 정보로 구성 (예: SVG)
구분비트맵벡터
표현 방식 픽셀 기반 선, 곡선 등 수학적 표현
크기 조절 확대 시 깨짐 확대해도 선명함
용도 사진 로고, 도안 등
 

동영상

  • 프레임(Frame): 1초에 여러 이미지 → 연속 표시
  • 압축 방식: MPEG, H.264 등 사용

📘 5. 기출 포인트 요약

  • ASCII는 7비트, Unicode는 다국어 지원
  • 음성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정지화상 = 픽셀로 구성, 비트맵과 벡터 구별
  • 영상은 연속된 이미지 + 압축 필수
  • 기출로 자주 나오는 키워드: 샘플링, 양자화, 부호화, 비트 수

📝 기출 예시 문제

다음 중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과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① 부호화 → 양자화 → 표본화
②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③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④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정답:

728x90
LIST